-
Social Network Analysis : SNA공부 2018. 4. 4. 23:58
Social Network Analysis(사회 연결망 분석)
개인과 집단들 간의 관계를 노드와 링크로서 모델링해 그거의 위상구조와 확산 및 진화과정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사회연결망 분석이란?
영어로는 Social Network Analysis라고 하며, 줄여서 SNA 라고도 합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개인과 집단들 간의 관계를 노드와 링크로서 모델링해 그것의 구조나, 확산 및 진화과정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 입니다.
이때, 노드란 분석하고자 하는 객체로서, 사람이나 사물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노드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즉 연결하는 것을 링크라고 하며 링크는, 단순히 노드A와 노드B를 연결한 무방향성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노드A에서 노드B로의 방향성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를 밀도 혹은 Degree 라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떠한 노드에 링크가 5개가 연결되어 있으면 이 노드의 Degree는 5가 되는 것입니다.(밀도라는 말은 전체 Network의 연결 빽빽함 정도를 나타낼 때도 쓰는 말이므로, 헷갈리지 않게 하기 위해 Degree라는 말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인간관계나, 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경영학, 응용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습니다.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으로는 중심성(Centrality), 밀도(Density), 구조적 틈새(Structural hole), 집중도(Centralization). 구조적 등위성(Equivalence)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중심성에 여러가지 측정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연결정도 중심성 (Degree Centrality)
한 노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링크들의 합으로 얻어진 중심성. 일반적으로 쓰이는 Degree를 뜻합니다.
한 점에 얼마나 많은 다른 링크들이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노드의 중심 정도를 계량화 한 것입니다.
2) 근접 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
각 노드 간의 거리를 근거로 중심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연결 정도 중심성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연결된 노드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된 모든 노드 간의 거리를 합산해 중심성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A가 어느 집단의 모든 사람을 알지는 못해도, A가 아는 사람들을 거쳐서 가면 모든 사람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때 가장 짧은 경로로 모든 사람을 알게 되는 것을 근접 중심성이라고합니다. 즉, 각 노드 간 거리를 근거로 중심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한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최소 단계의 합으로 정의됩니다.
3) 매개 중심성 (Betweenness Centrality)
네트워크 내에서 한 노드가 담당하는 매개자 역할의 정도로서 중심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A, B, C 세개의 노드가 있을때, A-B-C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B는 A와 C의 매개자 역할을 합니다. 이때 B는 매개 중심성이 높습니다. 즉, 한 노드가 연결망 내의 다른 노드들 사이의 최다 경로 위에 위치하면 할수록 그 노드의 매개 중심성이 높습니다.
4) 위세 중심성(Eigenvector )
연결된 노드의 중요성에 가중치를 둬 노드의 중심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영향력이 높은 노드와의 연결이, 영향력이 높지 않은 노드와 연결하는 것보다 위세 중심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datamarket.kr/xe/index.php?mid=board_BoGi29&document_srl=6479&listStyle=viewer